목록미국투자 이야기 (8)
마음이 편한 투자자

Summary · 자본이득세 인상은 주식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 켄 피셔는 역사적으로 세율 조정은 주식시장에 제한적인 영향에 불과하다고 주장 · 증세와 같은 단기적 이슈보다 경기의 펀더멘탈이 더 중요한 요소 지난주 현행 20%인 자본이득세를 최대 43.4%까지 인상할 것이라는 바이든 행정부의 증세 계획이 보도 되며 주식시장에 부담을 주었다. 이 뉴스가 보도 된 날 S&P 500은 약 1% 정도 하락했다. freedomfund.tistory.com/72 미국 자본이득세 인상 추진 (21/04/23) Summary · 미국 100만 달러 이상 소득자에 대한 자본이득세 현행 20%에서 최대 43.4%까지 인상 소식 · 자본이득세 인상이 법제화 되기 전 투자자들이 주식을 팔 것이라는 전망 · 투자 ..

Summary · 미국 100만 달러 이상 소득자에 대한 자본이득세 현행 20%에서 최대 43.4%까지 인상 소식 · 자본이득세 인상이 법제화 되기 전 투자자들이 주식을 팔 것이라는 전망 · 투자 심리에 악영향 · 부유층의 증세로 빈곤층을 지원하는 정책은 금리가 0%일 때 디레버리징을 위해 등장하는 일반적인 정부의 동작 원리 · 단기적으로 자본이득세 인상은 악재지만 장기적으로 경제가 건전해지기 위해 필요한 것 전일(22일) CNBC 보도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이 부유층에 대한 자본이득세를 최고 43.4%까지 인상 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블룸버그 통신은 39.6%라고 보도했는데 여기에 누진소득세를 포함하면 연방세율이 최대 43.4%까지 높아질 수 있다. 현행 100만 달러 이상의 소득자에 ..

Summary · 각 종 실물경기 지표 호조 · 이에 따라 뉴욕 증시 사상 최고가 행진 · 더이상 인플레이션을 두려워하지 않는 채권 시장 · 채권시장이 연준의 말을 믿기 시작했거나, 큰 손(일본)이 들어온 것 아닐까로 예상 주간 실업보험청구는 57.6만 명으로 펜데믹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인 69.5만을 대폭 밑도는 것으로 노동 시장이 강하게 회복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3월 소매판매 또한 전월 대비 9.8% 올라 시장의 전망치인 5.6%를 크게 웃돌았다. 이는 작년 5월 이후 최대 상승률이다. 3월 소매판매의 증가는 바이든 정부의 추가 부양책에 따른 현금 지급과 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에 따른 결과로 분석 된다. 경제 재개에 따른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Summary · 파월 의장, 고용과 물가의 실질적 진전 후에 통화정책 변화할 것 · 예상치 못한 높은 물가는 금리인상으로 대응할 수 있으나, 물가가 기조적으로 높을리 없음 · 뉴욕 연은 총재, 고용이 부진한데 인플레이션만 급격히 상승하지 않을 것 파월 의장은 "금리 인상을 고려하기 훨씬 전 월간 1천200억 달러의 채권 매입 속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고용 회복, 인플레이션 2% 목표 달성, 평균 2% 인플레이션 등 상당한 진전이 있어야 한다며 통화정책 변화 시기를 특정하지는 않았다. 결과에 기반해서 결정할 것이라는 점도 재차 강조했다. - 연합인포맥스 (2021. 4. 15) 금리 인상 전에 채권 매입 속도를 줄인다는 것은 테이퍼링을 의미한다. 굳이 테이퍼링이라고 표현하지 않은 것은 시장의 ..

Summary · 시장은 인플레이션에 따른 조기 금리인상을 우려했었음 ·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기조적이지 않음을 주장했었음 · 높은 3월 PPI가 CPI로 전이 되는지를 확인할 필요 · 3월 Core CPI는 전망보다 높았으나 과도한 인플레이션을 가르키지 않음 · 연준의 인플레이션 전망에 신뢰가 높아져 당분간 안정적인 시장 기대 그동안 금리 상승의 빌미를 제공했던 것은 인플레이션 논란이었다. 시장은 원유, 원자재 가격의 폭등과 경제 재개, 보복 소비 등이 인플레이션을 가르킨다고 생각했다. 이에 따라 기대 인플레이션이 그동안 크게 올랐고, 물가가 오르면 결국 연준(FED)은 예상보다 빠르게 금리인상을 할 것이라는 불안을 가졌다. blog.naver.com/jms803/222294073931

Summary · 다우, S&P500 최고가 갱신 · 생산자물가지수(PPI) 전년 대비 4.2% 대폭 상승 · 물가 상승에도 테이퍼링과 금리인상을 두려워하지 않게 된 시장 · 연준의 미세한 태도 변화가 최근 인터뷰를 통해 느껴짐(개인적인 직감?) · 다음 소비자물가지수(CPI)에 PPI 상승에 따른 영향을 확인할 필요 전일 다우는 +0.89%, S&P 500은 +0.77% 오르며 최고가로 마감하였다. S&P 500은 이번주에만 무려 2.71% 올랐고 3월 이후 7.5% 올랐다. 나스닥은 +0.51% 올랐다. 나스닥은 아직 이전 고점에 미치지 못하지만 최근 조정을 거의 다 회복했다. 특히 최근 애플이 7일 연속 상승하는 등 빅테크 기업의 상승이 돋보였다. 전일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가 발표 되..

Summary · 강세장에서 매크로는 신경을 덜 써도 됨 · 최근 연준의 메시지를 '더 완화적'이라고 해석하는 시장 · 사실 그동안 연준을 믿지 않던 시장이 변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옳음 요즘 글이 줄어든 것은 시장에 별 일이 없기 때문이다. 투자자에게 매크로는 강세장보다 약세장에서 더 중요하다. 강세장에서 매크로에 의한 시장 변동성은 적고 각 종목의 실적에 따라 가격이 변동하기 때문이다. 반면 약세장에서는 매크로의 영향이 커지는데 내가 글을 많이 쓸 때가 약세장에 가까운 시기라고 인간지표로 삼아도 될 듯 하다. 최근 금리는 1.6% 대에 안정적으로 유지 되며, 증시는 연일 최고가를 갱신하고 있다. 전일에도 S&P 500dms 4,097.17로 +0.42% 오르며 최고가를 기록했다. 금리가..

Summary · 시장 예상보다 강한 3월 고용지표 결과 · 세부적으로는 여전히 회복이 부족한 부분이 드러나 · 완전한 회복과 거리가 멀지만 강한 성장이 나타나는 골디락스 상황 · 증시 강한 상승과 금리 안정이 동시에 발현 골디락스와 곰 세마리 이야기를 아는가. 예쁜 금발머리 소녀 골디락스는 숲 속을 헤매다 한 오두막을 발견한다. 노크를 했지만 아무도 없어 오두막에 그냥 들어간 골디락스는 부엌에서 죽 세 그릇을 발견했다. 첫번째 죽은 너무 뜨겁고, 두번째 죽은 너무 차가웠지만 세번째 죽은 적당해서 골디락스는 세번째 죽을 맛있게 먹는다. 식사를 마친 골디락스는 피로가 몰려와 거실의 쇼파에 앉으려 했다. 첫번째 의자는 너무 크고, 두번째 의자는 너무 작아 앉을 수가 없었는데 세번째 의자가 딱 맞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