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6)
마음이 편한 투자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eDsz/btq1FBTWZzd/OLcqb4mfd0cg7KDkTBKyp0/img.jpg)
내가 '올웨더 스타일로 투자합니다.'라고 했을 때 그럼 RPAR ETF 하나만 사면 되는데 뭐하러 번거롭게 직접 운용하느냐, ETF 매니저들이 전문적으로 더 잘 운용해줄텐데, RPAR만 적립식으로 사는게 더 좋은거 아님? 이라고 질문을 받았다. 액티브 ETF인데 수수료가 비싸겠지 생각했지만 아니다. RPAR은 수수료가 0.5%로 액티브 ETF 치고 크게 비싸지 않았다. 수고를 더는 것에 비하면 합리적인 비용이라고 생각 된다. 나는 여전히 직접 올시즌스(올웨더) 포트폴리오를 운용하고 있지만 안정적인 위험분산 전략 ETF에 자산 일부를 담아두고 싶다면 고려할 수 있는 선택지로 RPAR을 추천할 수 있다. 혹은 패시브한 자산배분 전략을 직접 운용하는 개인 투자자라면 벤치마크로 활용할 수도 있다. 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lKwL/btq1JyVsgRt/GYpJ9KeBTVsbKOEkGdlKkk/img.jpg)
백신의 보급과 함께 세계는 코로나19의 그림자에서 서서히 벗어나고 있다. 실업과 이동 제한으로 억눌렸던 소비는 폭발할 조짐을 보이며 '보복소비'가 2021년의 뜨거운 키워드로 자리 잡고 있다. 미국 개인의 지난 1월 저축률이 또다시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중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끝난 이후 대규모 ‘보복 소비’를 위한 실탄 역할을 톡톡히 할 것이란 진단이다.(중략) 미 상무부에 따르면 개인 저축률은 올 1월 기준 20.5%로, 지난해 12월(13.7%) 대비 6.8%포인트 상승했다.(중략) 미 저축률은 코로나 팬데믹(대유행) 이전만 해도 7% 안팎에 불과했다.(후략) - 한국경제 (2021. 3. 1) 투자자들은 이미 발빠르게 코로나 회복 이후의 세상을 준비하고 있다. 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u952S/btq1IG62tz6/gTPX4KfAzVP9SXAQid5nb1/img.jpg)
금리상승과 인플레이션 증가로부터 명목채권은 너무나 취약하기 때문에 채권비중에 대한 고민이 일년째 이어져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일년동안 내 선택은 여러번 바뀌었는데 물가연동채(TIPS)에서 현금 보유로 갔다가 채권을 대신할 수 있는 주식(필수소비재) 등으로 방황하였다. 위 그림에서 잘 드러나 듯 물가연동채(TIPS)는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으로 더할 나위 없다. 만기가 짧은 물가연동채일 수록 인플레이션과 상관계수가 높았는데 인플레이션이 오를 때 수익률도 올랐다는 의미이다. 반면에 만기가 길 수록 변동성은 높았는데 만기가 긴 물가연동채는 금리의 변화에 민감성이 높아져 명목채권처럼 움직였다는 의미다. 결국 물가연동채의 인플레이션 간 상관관계와 변동성은 만기에 따라 반비례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1fDf/btq1C2KXbWZ/8d9uoBdTdvj2jA8HlVjfT0/img.jpg)
백신의 시계가 빨라지고 있다. OECD는 백신 효과로 21년 미국의 경제가 6.5% 성장 할 것으로 봤다. 이는 20년 12월 전망치인 3.2%보다 두 배 높은 전망이다. 미국의 소비자 심리지수는 아직 펜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지만 저축률이 크게 증가(1월 기준 약 20%)하여 소비의 폭발을 예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복소비로 일시적인 수요 폭발이 기대 되는 섹터에 투자하는 ETF를 탐색하였다. 하지만 이 분야는 기저 효과에 의한 반등 기대이므로 장기투자에는 부적합 할 수 있다. 또한 백신 생산과 보급 차질, 변종 바이러스 등의 단기적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에 투자에 유의가 필요하다. 투자 아이디어 1. 보복소비로 일시적인 수요 폭발이 기대 되는 산업 이 글은 투자 아이디어일 뿐 특정 종목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3jsox/btq1IHkuFm3/uBoRkxa6YgP6fR7u7fYls0/img.jpg)
1.9조 추가 부양책이 통과 되자 다음 부양책으로 투자자들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의 공약 중 하나인 Build Back Better로 미국 인프라 개선에 수 조 달러를 투자하는 부양안이다. 이를 통해 미국의 경기 회복과 고용 문제를 동시에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빌드 백 배터'는 바이든 대통령의 공약 사업이다. 인프라 투자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한 방안을 담고 있다. 민주당은 최대 3조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 사업을 위해 세금 인상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중략) 모건스탠리는 이 사업이 집행되면 진행중인 미국 경제 회복을 가속화시키는 한편 뉴욕 증시에서 '리플레이션 트레이드'(경기 회복 및 물가상승을 예상해 경기민감주와 가치주에 투자하는 것)을 뒷받침할..